- L4 , L7 로드 밸런서의 정의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L4 로드 밸런서 정의
L4 로드 밸런서는 전송 계층 (Transprot Layer, Layer 4)에서 작동하는 로드밸런서로, 주로 TCP 및 UDP 프로토콜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트래픽을 분산시킵니다. L4 로드 밸런서는 클라이언트의 IP 주소와 포트, 서버의 IP 주소와 포트를 기반으로 로드밸런싱을 수행합니다.
L7 로드 밸런서 정의
L7 은 로드밸런서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Application Layer, Layer 7)에서 작동하는 로드 밸런서로, 주로 HTTP 및 HTTPS 프로토콜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트래픽을 분산시킵니다. L7 로드밸런서는 요청 내용 (URL, 헤더, 쿠키) 등을 기반으로 로드 밸런싱을 수행합니다.
즉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의 컨텍스트에 따라서 특정 헤더값이 있으면 a 서버로 보내고 없으면 b 서버로 서빙한다는 서빙을 넣을 수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맥락의 더 구체적인 로드 밸런싱이 가능합니다.
L4와 L7 로드 밸런서 비교
항목L4 로드 밸런서 L7 로드 밸런서
작동 계층 | 전송 계층(Layer 4) | 애플리케이션 계층(Layer 7) |
주요 프로토콜 | TCP, UDP | HTTP, HTTPS |
로드 밸런싱 기준 | IP 주소, 포트 | 요청 내용(URL, 헤더, 쿠키 등) |
처리 속도 | 상대적으로 빠름 | 상대적으로 느림 |
기능 및 유연성 | 상대적으로 제한적 | 다양한 기능 및 유연성 |
장단점 및 사용 사례
L4 로드 밸런서의 장점은 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것입니다. 패킷의 헤더 정보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빠른 응답 시간을 제공합니다. 말 그대도 IP, 포트만으로 로드 밸런싱을 해주기 때문에 간단하고 처리량도 훨씬 높다. 단점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정보를 활용하지 못해 기능 및 유연성이 제한적이라는 점입니다. 사용 사례로는 온라인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 등 실시간 트래픽이 중요한 서비스에 적합합니다.
L7 로드 밸런서의 장점은 다양한 기능 및 유연성을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요청 내용을 분석하여 특정 요청을 특정 서버로 전달하거나, 캐싱 및 압축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처리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다는 점입니다.
즉 처리량이 떨어 질 수 있다. L7 프로토콜까지 다 파싱하고 분석하는 로직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패킷의 애플리케이션 계층 정보를 분석해야 하기 때문에 L4 로드 밸런서 보다 처리시간이 더 걸립니다. 사용 사례로는 웹 서비스, API 게이트웨이,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등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로드 밸런싱이 필요한 서비스에 적합합니다.
L4와 L7 로드 밸런서의 적절한 활용
L4와 L7 로드 밸런서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웹 서비스에서는 이 두 기술을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활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실시간 트래픽 처리가 중요한 서비스의 경우 L4 로드 밸런서를 사용하여 빠른 응답 시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로드밸런싱이 필요한 서비스에서는 L7 로드 밸런서를 사용하여 다양한 기능과 유연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웹 개발자는 L4와 L7 로드 밸런서의 원리와 사용방법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적절한 기술을 선택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메서드란? 멱등성 (0) | 2025.04.01 |
---|---|
HTTP/ HTTPS , SSL 가속기 (0) | 2025.03.19 |
TCP/IP 네트워크 이해하기 (4) - TCP (0) | 2025.01.27 |
TCP/IP 네트워크 이해하기 (4) - IPv4, ICMP (0) | 2025.01.27 |
TCP/IP 네트워크 이해하기 (2) - 2계층에서 하는 일 (0)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