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

Jenkins 설치: 전통적인 방식 vs Docker 방식 비교

경딩 2025. 4. 12. 13:42

Docker 방식으로 설치? 뭐가 다를까?

Docker 는 애플리케이션을 어디서든 동일하게 실행하기 위해 등장한 기술이다.

 

Docker의 목적은 실행 환경을 컨테이너 안에 통째로 담아,
개발 환경과 운영 환경의 차이로 인한 문제(이른바 ‘내 PC에선 잘 되는데?’ 문제)를 해결하는 것입니다.

 

개발자들이 Docker를 도입한 이유 요약:

  • "서버에 배포했더니 에러가 나요!" → 로컬과 서버의 환경 차이 때문
  • "라이브러리 버전이 달라서 오류나요" → 의존성 충돌
  • "운영 서버에서만 나는 버그" → 환경 차이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ocker는 실행 환경 자체를 통째로 패키징해서
언제, 어디서 실행해도 같은 결과를 보장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편리한 도커 전통방식과의 차이를 알아보자


전통적 방식과 Docker 방식의 비교

전통적 설치 방식  vs Docker 설치 방식

 

설치 난이도 시스템 설정 필요 (repo, 패키지 등) 단일 명령어로 실행 가능
유연성 OS 환경에 종속적 환경 이식성 뛰어남
업데이트 수동 패키지 업데이트 필요 이미지 재배포로 간단
격리성 시스템에 직접 설치됨 컨테이너로 격리됨
백업 및 복구 디렉토리 백업 필요 볼륨 백업 용이
포트 충돌 회피 직접 조정 필요 컨테이너 포트 바인딩으로 유연

1. Java 설치 (Jenkins는 Java 필요)

sudo dnf install java-17-openjdk -y 

설치 후 버전 확인:

 
java -version
java -version
 

2. Jenkins 저장소 추가

sudo dnf install wget -y sudo wget -O /etc/yum.repos.d/jenkins.repo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repo 
sudo rpm --import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io-2023.key

3. Jenkins 설치

sudo dnf install jenkins -y 

4. Jenkins 서비스 시작 & 부팅 시 자동 실행

 
sudo systemctl enable --now jenkins

상태 확인:

sudo systemctl status jenkins
 

5. 초기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

sudo cat /var/lib/jenkins/secrets/initialAdminPassword
sudo cat /var/lib/jenkins/secrets/initialAdminPassword

이걸 웹 브라우저에서 로그인할 때 입력

6. 웹에서 접속

  • 브라우저 열고
     http://서버IP:8080

초기 패스워드 입력 후 → 플러그인 설치 → 관리자 계정 생성 → 완료!

 

레파지토리는 자료가 저장되는 공간


🐳 Docker로 설치하는 Jenkins

이미지(Image) 는 컨테이너 실행을 위한 템플릿으로, 설치 과정, 설정, 실행 환경, 버전 정보 등을 모두 포함한다.
Jenkins 실행에 필요한 모든 환경이 이미지 안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훨씬 간편하고 이식성이 높다.

 

sudo docker run -d -v jenkins_home:/var/jenkins_home  --name jenkins-server -p 8080:8080 -p 50000:50000 --restart=on-failure jenkins/jenkins:lts-jdk17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kerfile 활용해 이미지 직접 만들기  (1) 2025.04.15
Docker CLI - 기본 명령어  (0) 2025.04.12
도커란? 컨테이너란? 이미지란?  (0) 2025.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