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시간 복잡도를 이용하면 작성한 코드가 시간이 대략 얼마나 걸릴지 예상 할 수 있다. 시간 복잡도는 소스를 보고 계산할 수도 있고, 소스를 작성하기 전에 먼저 계산해볼 수 있다. 문제를 풀기 전에 먼저 생각한 방법의 시간 복잡도를 계산해보고 이게 시간 안에 수행될 것 같은 경우에만 구현하는 것이 좋다. 문제의 크기 입력범의의 가장 큰 수를 시간복잡도에 대입하여 그 값에 따라 구현여부를 결정함 ex) 1억 -> 1초 n 1-->0.00~1초 (아주 작은 초) 너무 빨라서 무시할수 있는 수 O(N) ->10만 ->0.001초 O(N^2) ->100억 --> 100초 시간 복잡도 안에 가장 큰 입력 범위를 넣었을 때, 1억이 1초 정도이다 이 값은 대략적인 값으로, 실제로 구현해보면 1억을 조금 넘어도..